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당뇨병 방송 요약

 

방송 주제: 방심하면 ‘당’한다! 우리나라 국민병 1위로 급부상한 당뇨병 집중 점검

출연자: 이상열 교수, 김병준 교수, 문준성 교수 (당뇨병 전문의 3인)

패널: 이승연 아나운서, 개그맨 양상국

 

(1) 당뇨병 경고: 침묵의 살인자

1. 유병률 급증

30·40대 환자 16%, 60대 이은 약 30% → “3명 중 1명” 추정

비만, 나쁜 식습관, 운동 부족이 발병 ↑

젊은 층 비만 증가로 10~20대 당뇨 환자도 많아짐

2. 합병증

고혈당이 온몸의 혈관을 손상

대표 합병증: 망막증(실명), 신장병, 신경병증(절단 위험), 심혈관 질환, 뇌졸중 등

‘침묵의 살인자’ 별칭: 당뇨 초기 증상 경미해 방치하다가 합병증 심해지고 진단받는 사례 많음

3. 겨울철엔 더 위험

추워서 운동량 감소, 붕어빵·호빵 등 고칼로리 간식 섭취 늘어 체중↑, 혈당 스파이크 증가

명절 후 한과·전·떡류 과잉 섭취 → 혈당 조절 안 됨

(2) 식단 관리 팁: 당지수·식이섬유·거꾸로 식사법

1. 간식 양자택일 퀴즈:

고구마 vs 감자 → 감자가 혈당 더 빨리 올림(당지수 90 vs 55)

고구마 vs 옥수수 → 옥수수가 더 빨리↑(옥수수 당지수 70 vs 고구마 55)

떡국 vs 쑥개떡 → 떡국이 더 빨리↑(흰떡+젤라틴화)

흰쌀밥 vs 백설기 → 백설기가 더 빨리↑(당지수가 더 높음)

귤 5개 vs 귤 주스 → 주스가 더 빨리↑ (섬유소 제거)

2. 삼박자 원칙: 시간‧질‧양

시간: 식사 제때·규칙적으로(끼니 건너뛰면 다음 끼니 폭식→혈당 급상승)

: 고당지수(라면·식빵·도넛 등) 피하고 식이섬유‧단백질‧채소 골고루

: 과식 금물(밥·면‧빵+떡 등 중복탄수화물 주의)

3. 식사 순서 “거꾸로 식사법”

채소(섬유소) → 단백질(살코기·생선·두부) → 밥·면·떡 (탄수화물) 순서로 먹기

탄수화물부터 먹으면 혈당이 갑자기 확↑, 식이섬유‧단백질 먼저 먹어주면 혈당 스파이크↓

※ 실제 연구에서도 식후 혈당 최대 30% 이상 낮춰준다고 소개

4. 식이섬유·단백질 권장

[식이섬유 풍부 식품] 파프리카, 양배추, 우엉, 호박, 미역·김·다시마 등 해조류

[단백질 풍부 식품] 살코기(기름기 적은 부분), 생선, 닭가슴살, 두부

끼니에 섬유·단백질 먼저 먹으면 포만감↑, 흡수 천천히, 혈당 안정

(3) 운동 관리: 식후 30분 골든타임

1. 식후 30분 운동 권장

식사 후 30분~1시간 혈당이 가장 크게 오름 → 이때 가볍게 운동하면 근육에 포도당 흡수가 빨라져 혈당관리에 효과적

걷기·계단 오르기·근력운동 등 권장

2. “천연 인슐린” 허벅지 근육 키우자

근육이 많을수록 혈당 저장고 커짐 → “허벅지 키우면 혈당이 잡힌다”

근력+유산소 병행이 핵심

3. 시연 운동 예시

(1) 무릎-팔꿈치 교차 & 손끝-발끝 터치 “크로스 터치”

(2) 골반 넓게 벌려서 천천히 스쿼트

(3) 런지 동작 & 종아리 활용, 10~15회/세트 반복

(4) 당뇨 치료: 약·인슐린·연속 혈당 측정기

1. 약 먹으면 평생? → 오해

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약물치료하면 지친 췌장 보호, 합병증 예방 효과 커짐

당뇨 전 단계인데도 식이·운동으로 안 잡히면 약 도움 적극 권장

2. 인슐린은 말기만 맞는가? → 오해

혈당 매우 높거나 임신성 당뇨, 수술 전, 특정 케이스에서 일시 사용 가능

증상 나아지면 인슐린 중단 후 다른 약으로 전환도 가능

3. 연속 혈당 측정기(CGM)

손끝 채혈 대신 팔·복부에 센서 부착 → 5~10분 간격으로 자동 혈당 기록

식후 혈당 상승 패턴 등 확인 가능

비용 부담 큼, 꼭 필요한 환자에게 의사와 상의 후 활용 권장